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pring
- db
- kafka
- 스프링부트
- resultMap
- 스프링 부트
- thymeleaf
- assertThat
- springboot
- 스프링
- 스프링 빈
- 필드 주입
- 스프링 컨테이너
- 스프링 부트 입문
- 스프링 부트 기본
- DIP
- Javascript
- assertThrows
- mybatis
- JPA
- 스프링 프레임워크
- Effective Java
- sqld
- 생성자 주입
- java
- DI
- SQL
- 싱글톤
- @Configuration
- jdbc
- Today
- Total
목록Solution/Git (2)
선 조치 후 분석

Git Branch 전략 Git Branch에 전략, 즉 규칙을 부여하는 것 Git Branch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워크플로우 각 Branch에 규칙을 정해놓고, 해당 규칙을 팀원들이 지켜가며 개발을 진행하는 것 종류 Git-Flow GitHub-Flow Branch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Main Branch는 일반적으로 출시되고 배포된 코드를 위한 브랜치 이곳에 기능을 하나씩 커밋을 진행하다 보면, 기능이 완성되기 전까지 Main Branch의 소스코드는 불완전상태로 존재 하나의 Branch로 개발을 진행하다 보면, 작업 중인 파일을 누군가 건드려 충돌이 발생 우려 독립적 개발을 위해 필요한 기능 Branch를 나누는 방법 main(master) : 서비스를 직접 배포하는 역할을 하는 브랜치 ..

add ( Add to Index) : 'Working directory'에서 수정한 파일을 'Commit'을 하기 전에 'Staging Area'에 'Commit' 예정인 파일 내용을 저장. ※ Staging Area (Index) : 저장소가 추적하는(관심의 대상이 되는) 파일들의 목록을 유지하고, 그 파일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은 다른 저장소들도 하는 일이지만, 'Git'처럼 커밋될 예정인 파일의 내용들까지 기억하지는 않는다. 다른 SCM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 형상관리)에선 파일을 바로 'Commit'하면 되었는데, 'Git'은 반드시 그 전에 'add'를 해줘야 한다. Commit (Team -> Commit) : 'Git' 내에서는 '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