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mybatis
- @Configuration
- sqld
- assertThrows
- JPA
- 스프링 컨테이너
- java
- spring
- 스프링 부트 입문
- jdbc
- kafka
- Effective Java
- thymeleaf
- 스프링 빈
- 스프링 부트 기본
- 싱글톤
- 필드 주입
- 스프링부트
- springboot
- assertThat
- 생성자 주입
- SQL
- 스프링 부트
- Javascript
- resultMap
- db
- DIP
- 스프링 프레임워크
- DI
- 스프링
- Today
- Total
목록스프링 부트 입문 (3)
선 조치 후 분석

자바 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 등록하기 @Component 스캔을 사용해서 자동으로 빈을 등록하는 방법이 아닌, 직접 설정 파일에 등록하는 방법을 배워보자. 스프링 빈 등록하는 방법은 2가지 다 알아야 한다!! 1) Component 자동 스캔 방법 2) Java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 등록 먼저, Controller를 제외하고, Service와 Repository에서 어노테이션을 다 지워주고 돌려보자. 결과는 당연히 에러가 발생한다. Error starting ApplicationContext. To display the conditions report re-run your application with 'debug' enabled. 2021-12-07 22:17:21.494 ERROR 4580 --- [..
회원 도메인과 리포지터리 만들기 + 람다식이란? + NPE를 방지해주는 Optional 클래스 1. 회원 객체(Member) package hello.hellospring.domain; public class Member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2. MemberRepository package hello.hellospring.repository..

CMD를 이용해서 Build를 진행해보자. (※이클립스에서 먼저 서버를 꺼준다.)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다운받거나 build가 자동으로 된다. 완료되면 build-> libs폴더 안에 파일이 만들어져 있다. CMD에서 새로 생긴 파일을 실행시키면 서버가 실행이되면서 local페이지를 들어갈 수 있다. 서버 배포할때는 이 파일(jar)만 복사해서 서버에 넣어주면 된다고 한다. ※ 잘 안된다면, ./gradlew clean build 를 실행하자. 지우고 다시 build를 해준다고 한다. 출처 - 인프런(스프링 입문 - 스프링부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