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qld
- 생성자 주입
- 스프링 컨테이너
- springboot
- mybatis
- assertThat
- resultMap
- kafka
- DIP
- spring
- db
- 스프링 부트 입문
- jdbc
- DI
- 스프링부트
- @Configuration
- java
- 싱글톤
- 필드 주입
- Effective Java
- 스프링 프레임워크
- 스프링 빈
- 스프링 부트
- 스프링
- 스프링 부트 기본
- Javascript
- JPA
- SQL
- thymeleaf
- assertThrows
- Today
- Total
목록스프링 부트 기본 (3)
선 조치 후 분석

스프링 빈과 의존관계 + DI(Dependency Injection) + Component Scan + 싱글톤 + 스프링 빈 화면을 붙이고 싶다 = 뷰 템플릿 + 컨트롤러 필요하는 의미 멤버 컨트롤러 -> 멤버 서비스를 통해서 조회를 하고 회원가입을 시켜야 한다 == 의존관계가 있다는 의미이다. @Controller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 { private final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new MemberService(); } 스프링 컨테이너라는 통이 생기는데, 컨트롤러라는 어노테이션이 있으면, MemberController로 객체를 생성해서 스프링에 넣어둔다. 그리고 스프링이 관리한다. MemberService를 가져다 써야할 때, 이렇게..
회원 도메인과 리포지터리 만들기 + 람다식이란? + NPE를 방지해주는 Optional 클래스 1. 회원 객체(Member) package hello.hellospring.domain; public class Member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2. MemberRepository package hello.hellospring.repository..

비즈니스 요구사항 정리 데이터 : 회원ID , 이름 기능 : 회원 등록, 조회 아직 데이터 저장소가 선정되지 않음 (가상의 시나리오) 컨트롤러 : 웹 MVC의 컨트롤러 역할 서비스 : 도메인 객체를 갖고 핵심 비즈니스 로직 구현 (ex : 회원ID 중복가입 방지) 리포지토리 :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도메인 객체를 DB에 저장하고 관리 도메인 : 비즈니스 도메인 객체 (ex : 회원, 주문, 쿠폰 등등 주로 DB에 저장하고 관리됨) 아직 데이터 저장소가 선정되지 않아서, 우선 인터페이스로 구현 클래스를 변경할 수 있도록 설계 데이터 저장소는 RDB, NoSQL등등 다양한 저장소를 고민중인 상황으로 가정 개발을 진행하기 위해서 초기 개발 단계에서는 구현체로 가벼운 메모리 기반의 데이터 저장소 사용 구체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