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싱글톤
- db
- DI
- assertThrows
- 생성자 주입
- thymeleaf
- 필드 주입
- jdbc
- 스프링 부트
- Effective Java
- 스프링 부트 입문
- spring
- SQL
- 스프링부트
- resultMap
- Javascript
- assertThat
- DIP
- mybatis
- 스프링
- @Configuration
- 스프링 부트 기본
- 스프링 빈
- sqld
- java
- kafka
- 스프링 프레임워크
- 스프링 컨테이너
- JPA
- springboot
- Today
- Total
목록resultMap (3)
선 조치 후 분석
ResultSet vs ResultMap #{department, mode=OUT, jdbcType=CURSOR, javaType=ResultSet, resultMap=departmentResultMap} mode속성은 IN, OUT 또는 INOUT 파라미터를 명시하기 위해 사용한다. 파라미터가 OUT 또는 INOUT이라면 파라미터의 실제 값은 변경될 것이다. mode=OUT(또는 INOUT)이고 jdbcType=CURSOR(예를 들어 오라클 REFCURSOR)라면 파라미터의 타입에 ResultSet를 매핑하기 위해 resultMap을 명시해야만 한다. ResultSet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 API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JDBC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쿼리의 ..
SQL 쿼리문을 작성하다 보면, resultType, resultMap과의 차이를 잘 모르고 사용해서 쓰곤 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개념을 잡고 싶어서 정리해봤다. resultType : 클래스명 전체 또는 Alias를 입력해야 한다. VO, DTO 등의 객체를 담을 수 있는 클래스의 경로를 명시하여 사용하면 된다. SELECT MYSTORE_ID , USER_ID , BIZ_NO , CREATED_DT , ( SELECT FN_IS_XCPT_STORE_YN( #{bizNo} ) FROM DUAL ) AS XCPT_YN FROM EMCS_MY_STORE USER_ID = #{userId} AND BIZ_NO = #{bizNo} resultMap : 개발자가 직접 POJO(VO) 클래스에 매핑하며, 제한..

자바로 개발을 하면서 SQL을 작성하는 XML에서 resultMap, resultClass를 흔하게 볼 수 있었다. 오늘은 2개의 차이점과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정리해보았다. 참고 (resultClass -> resultType으로 변경) iBatis MyBatis resultClass resultType resultType : 이 구문에 의해 리턴되는 기대 타입의 패키지 경로를 포함한 클래스명 전체 or 별명(Alias)을 입력 매핑하려는 자바 클래스의 전체 경로를 입력 VO, DTO 등의 객체를 담을 수 있는 클래스의 경로를 명시 자동 매핑이 되지만 일부 제한 있음 ~ ~ resultMap : 개발자가 직접 POJO 클래스에 매핑 번거롭지만 제한 없이 사용 가능 ~ 추가적으로 Ibatis에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