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싱글톤
- @Configuration
- 스프링 빈
- sqld
- SQL
- mybatis
- db
- 스프링 부트 기본
- 스프링 컨테이너
- 스프링 부트 입문
- kafka
- 필드 주입
- resultMap
- java
- 스프링 프레임워크
- spring
- 스프링
- Javascript
- DIP
- JPA
- 스프링 부트
- thymeleaf
- Effective Java
- assertThat
- jdbc
- 생성자 주입
- DI
- 스프링부트
- assertThrows
- springboot
Archives
- Today
- Total
선 조치 후 분석
[컨트롤러 호출 방법] Submit vs Ajax 차이점? + form을 Ajax로 호출하는 방법 본문
728x90
반응형
SMALL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안에 늘 궁금했던 내용이 있다. 바로 Form(Request)를 Submit으로 호출하는 방법과 Ajax로 호출하는 방법의 차이이다.
1) submit : form 전체 데이터를 날려 페이지가 리로드(Reload)된다. 그렇기에 페이지가 변경되는 경우에 자주 사용한다. 즉, 동기식 (Synchronous) 방식
흔히 사용할 때는, 로그인 후 페이지를 이동할 때, submit을 사용한다.
(동기방식으로 다른 작업을 하지 못한다.)
2) Ajax : 비동기식(Asynchronous) 방식.
* 비동기식 방식 : 서버에서 return data가 날아오지 않아도 기다리지 않고 다른 작업을 바로 진행하는 방식.
그렇기에 대기시간이 줄어들어 웹 페이지를 역동성 있게 표현할 수 있다. (시간 단축)
더 자세하게 내용을 알아보면 많은 차이들이 있을 거 같지만, 단순하게 페이지가 리로드(Reload)가 되는 경우에는 'Submit(동기)'방식을 사용하고, 리로드(Reload)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Ajax(비동기)'방식을 사용해서 알맞게 사용하면 되는 것 같다.
추가로, form을 Ajax로 전송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form'을 'serialize()'를 시켜주고 그 데이터를 Ajax를 호출할 때, data로 넣어주면 된다.
function sendData() {
var form1 = $('formid').serialize();
$.ajax({
url : '/~',
type: 'POST',
data: form1,
dataType : 'json',
success : function(data){
alert("success");
},
error : function(){
alert("fail");
}
});
}
728x90
반응형
LIST
'ETC > IT Knowled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prop vs attr 차이점 (0) | 2022.06.13 |
---|---|
[JAVA] 객체의 초기화, String의 초기화는 다르게? (0) | 2022.06.07 |
[ETL, ELT] ETL? & ELT? (0) | 2022.06.07 |
[jQuery] jQuery 버전 확인하는 방법 (0) | 2022.05.31 |
[IT 용어] 넥서스(Nexus) Repository 란?? (0) | 2022.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