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스프링 부트 입문
- 스프링
- db
- sqld
- SQL
- assertThat
- thymeleaf
- Effective Java
- 스프링 부트
- Javascript
- jdbc
- 싱글톤
- mybatis
- assertThrows
- springboot
- JPA
- 필드 주입
- resultMap
- spring
- 스프링 프레임워크
- @Configuration
- 스프링 컨테이너
- 스프링 부트 기본
- 생성자 주입
- 스프링부트
- DIP
- kafka
- java
- 스프링 빈
- DI
Archives
- Today
- Total
선 조치 후 분석
eGovFrame Web Project vs eGovFrame Boot Web Project 차이점 본문
728x90
반응형
SMALL
특징 | eGovFrame Web Project | eGovFrame Boot Web Project |
기반 프레임워크 | Spring Framework (4.x~5.x) | Spring Boot (2.x 이상) |
설정 방식 | XML 기반 설정 | Java Config 및 applicaiton.yml |
뷰(View) 기술 | JSP (Spring MVC) | JSP, Thymeleaf, RESTful Api |
ORM 기술 | MyBatis | MyBatis, JPA |
RESTful API 지원 | 제한적 | 기본 제공 |
내장 서버 지원 | 없음 (별도 WAS 필요) | 제공 (내장 톰캣, Jetty 등) |
개발 생산성 | 전통적인 방식으로 설정 복잡도가 높음 | 설정 간소화, 생산성이 높음 |
클라우드/컨테이너 적합성 | 낮음 | 높음 |
Boot 방식으로 개발을 하려면 ' eGovFrame Boot Web Project' 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해서 개발해야 한다.
728x90
반응형
LIST
'ETC > IT Knowled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러스터(Cluster)에 대하여.. (0) | 2024.12.24 |
---|---|
Zookeeper 기본 개념 정리 (1) | 2024.12.18 |
MSA(Microservices Architecture)? MA(Monolithic Architecture)? 개념 및 차이 (0) | 2024.12.09 |
MQ(Message Queue) 개념 그리고 Kafka, RabbitMQ 차 (1) | 2024.12.06 |
[HTTP]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본 방식 (0) | 2024.05.20 |